이번주 한미 2+2 통상협의...최상목 경제부총리·안덕근 산업부 장관 vs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 / 이재명표 'AI 펀드' 카드 관심
|
|
|
안녕하세요! 머니서퍼PLUS 뉴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여러분의 성원 덕분에 저희 뉴스레터가 빠르게 구독자 500명을 달성했습니다.
이번 기회에 저희 뉴스레터의 부족한 점을 개선하고 구독자분들의 니즈에 맞게 업그레이드하고자 합니다! 또한 항상 연결 링크로 제공해드리던 머니서퍼PLUS 리포트의 50% 할인 체험권 지급 이벤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이 뉴스레터 맨 하단에 자세한 설명을 써두었으니 확인 부탁드립니다! ✅
링크를 통해서도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국내 증시: 코스피 이틀 연속 상승, 2,480대 안착
-
코스피: 2,483.42 (+0.53%) 이틀 연속 상승세
-
코스닥: 717.77 (+0.85%) 상승세 강화, 720선 접근
-
원/달러 환율: 1,423.80원(+4.3원)
주요 이슈
-
투자 주체별: 기관 815억원 순매수 / 개인·외국인 각각 317억원, 1,049억원 순매도
-
주목 종목: 두산에너빌리티(+6.13%), 현대차(+3.03%), KB금융(+2.62%)
-
AI 관련주 급등 현상: 나우IB(+26.89%), 팬스타엔터프라이즈(+29.97%), 포바이포(+29.89%), 엑스페릭스(+29.87%)
-
정치 테마주 광풍: 이재명 테마주, 상지건설 2주간 10거래일 연속 상한가
-
테마주 변동성 주의: 경선 결과에 따라 급등락 가능성
🌎 미국 증시: '성금요일' 휴장
-
주간 성적: 다우(-2%), 나스닥(-2%), S&P500(-1.5%) 모두 하락
-
주요 요인: 트럼프 대통령 관세 불확실성 지속
-
전문가 의견: "시장은 무역 협상 방향성 주시 중" -롭 하워스 US뱅크자산운용 선임 투자전략가
💡 오늘 / 이번 주 주목 포인트
한미 '2+2' 통상협의 진행: 24일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 유력
이재명표 AI 펀드' 공개 임박: 28일 정책 포럼 통해 발표 예정
|
|
|
-
이번주 미국 워싱턴에서 한미 양국이 미국의 관세 부과 등 무역 현안을 논의하는 고위급 협의 개최, 미국이 제안한 2+2 형식, 즉 재무·통상 수장들이 함께 만나는 형식이 될 예정
-
자동차, 반도체 등 대미 주력 수출 품목에 대해선 관세 철폐를 위해 총력전을 펼칠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협상에 나서 방위비 인상 등을 요구할 가능성에도 대비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미국에 “맞서지 않겠다”며 사실상 ‘저자세 가이드라인’을 제시
-
정부는 미국이 필요로 하는 조선 산업 협력, 알래스카 천연가스 개발 등 에너지 사업 검토, 비관세 장벽 해소 등을 카드로 삼아 25% 상호관세 철회 또는 경감을 추진한다는 기본 입장
📈 관련주
알래스카 가스관 : 이렘 / 한텍 / 하이스틸
조선 : 현대글로비스 / HD현대마린솔루션 / 엔케이
식량 : 신송홀딩스 / 풀무원 / 우양
오늘 상승할 더 많은 테마와 관련주를 확인하고 싶다면?
|
|
|
#B. AI 인공지능
-
이재명 후보의 싱크탱크 ‘성장과통합’이 오는 28일 ‘AI 정부’를 구체화 할 기술 및 재정 대책을 공개할 예정
-
핵심은 제조업의 AI 전환, 그리고 재정을 뒷받침할 국가 주도 ‘마중물 펀드’ 조성
📈 관련주
최근 강세 (AI 인공지능): 팬스타엔터프라이즈 / 씨아이테크 / 포바이포
AI(인공지능) : 심플랫폼 / 유디엠텍 / 모코엠시스
의료AI : 온코크로스 / 아이티아이즈 / 딥노이드
창투사 : DSC인베스트먼트 / LB인베스트먼트 / HB인베스트먼트
K-엔비디아 정책 : 나우IB / SV인베스트먼트 / 에이직랜드
피지컬AI : 하이젠알앤엠 / 레인보우로보틱스 / 클로봇
스마트팩토리 : 엠아이큐브솔루션 / 유디엠텍 / 코닉오토메이션
오늘 상승할 더 많은 테마와 관련주를 확인하고 싶다면?
|
|
|
전일(4/18) 장마감 이슈
정치
테마별 상승했던 관련주를 무료로 확인하고 싶다면?
|
|
|
이더리움의 미래를 스케일링하는 문제 해결사, '****'을 알아볼 시간 (by. 체인포팀)
오늘 알아볼 코인은 STRK (StarkNet)입니다.
StarkNet은 과거부터 업계에서 큰 기대를 받았던 프로젝트인데요, 국내에서는 빗썸(Bithumb)에만 상장되어 있어 더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블록체인에서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함께 대표적인 플랫폼입니다. 하지만, 이더리움에는 한 가지 오래된 문제가 있었습니다. 바로 이더리움은 속도는 느리고 수수료는 비싸다는 점이었죠.
"커피 한 잔 사려는데, 수수료가 커피값보다 더 나왔다!"
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으니까요. 그렇다면 이런 StarkWare와 STRK는 어떻게 시작됐을까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