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불출마에 김문수 관련주 시간외 상승🚀 / 민주당 AI 변호사· AI 원격의료 합법화 공약 추진
|
|
|
📈 국내 증시: 관세 불확실성 완화에 코스피 이틀 연속 반등
주요 이슈
-
외국인·개인: 각각 1,182억원, 1,489억원 순매도
-
기관: 1,829억원 순매수로 지수 상승 주도
-
자동차·금융 강세: 현대차 +4.29%, 기아 +3.37%, KB금융 +2.50%
-
업종별 강세: 전기·가스 +2.47%, 기계·장비 +2.35%, 증권 +1.76%
-
방산·제약 약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65%, 셀트리온 -2.26%, 제약 업종 -0.81%
-
테마별 주도주: 로봇(한국피아이엠 +29.97%, 티엑스알로보틱스 +17.38%), 강관/가스관(하이스틸 +29.87%, 동양철관 +5.71%), 이재명 관련주(형지I&C +29.75%)
🌎 미국 증시: 미중 무역갈등 우려 속 약보합 마감
주요 이슈
-
미중 긴장 고조: 백악관 "공은 중국으로 넘어갔다" 협상 촉구, 중국은 무역제재 확대
-
중국 보복 조치: 희토류 수출 제한에 이어 보잉 항공기·부품 인도 거부 지시(보잉 -2%)
-
은행 실적 호조: 씨티그룹(+2%), 뱅크오브아메리카(+3%) 1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상회
-
넷플릭스 급등: "2030년까지 매출 2배, 시총 1조 달러 목표" 발표에 +5% 상승
-
경제지표 부진: 3월 수입물가 6개월 만에 마이너스 전환, 4월 뉴욕 제조업지수 2개월 연속 위축
⚠️ 오늘 / 이번 주 주목 포인트
-
관세 불확실성 완화(국내): 전문가들 "트럼프 관세 정책, 정점 통과... 자국 기업 피해 우려에 강경책 후퇴 중"
-
미중 협상 지연: 중국 '만만디' 전략으로 협상 지연, FT "시진핑이 트럼프보다 강한 카드 보유"
-
에너지 협력 강화: "알래스카 LNG부터 한미 협상 시작" 관련 강관/가스관 테마 강세
-
정치 이슈: 민주당 AI 정책 구체화, 한덕수 불출마로 김문수 급등, 한덕수 급락 예상
|
|
|
-
국민의힘은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 후보 등록에 총 11명이 신청
-
후보들 강성현 전 국회의원 후보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김민숙 전 서영대학교 초빙교수,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정일권 전 민족통일촉진본부 홍보실장,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 관련주
김문수 : 평화산업(7.89%) / 평화홀딩스(3.69%) / 대영포장(3.34%)
이재명 : 상지건설 / 카티스 / 크라우드웍스
홍준표 : 경남스틸 / 휴맥스홀딩스 / 태양금속
한동훈 : 부방 / 대상홀딩스 / 오파스넷
한덕수(급락 주의) : 아이스크림에듀 / 시공테크 / 대성홀딩스
오늘 상승할 더 많은 테마와 관련주를 확인하고 싶다면?
|
|
|
#B. [시간외 상승] 민주당 AI 정책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당 대표 당시 위원장을 맡았던 AI강국위원회(AI강국위) 위원장직을 유지
-
지난달 7일 출범한 AI강국위는 민주당이 AI와 관련한 정책 발굴, 산업 진흥 등을 위해 만든 위원회
📈 관련주
시간외 상승 (의료AI / 원격진료) : 인성정보(9.99%) / 셀바스헬스케어(9.86%) / 토마토시스템(7.15%)
창투사 : DSC인베스트먼트(3.46%) / LB인베스트먼트(2.46%) / HB인베스트먼트(2.31%)
AI(인공지능) : 포바이포 / 유디엠텍 / 모코엠시스
퓨리오사AI : 팬스타엔터프라이즈 / 컴투스 / NAVER
오가노이드 : 싸이토젠 / 차바이오텍 / 티앤알바이오팹
오늘 상승할 더 많은 테마와 관련주를 확인하고 싶다면?
|
|
|
전일(4/15) 장마감 이슈
로봇
테마별 상승했던 관련주를 무료로 확인하고 싶다면?
|
|
|
관세 쇼크 이후에 관세 버블 랠리가 온다? by. 팀셰르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를 전후로 한 최근 나스닥 차트는 차트 분석이 무의미할 정도로 ‘밈주식’처럼 움직이고 있습니다.
대공황급 관세 충격이 글로벌 증시를 망가트렸고 얼마 되지 않아 유예를 발표하면서 역대급 되돌림이 나타났습니다. 이제 좀 정리되나 싶더니 채권시장, 환율시장이 날뛰면서 매크로 변수도 복잡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미중 간 관세 협상은 요원하고 백악관은 주말 사이 반도체 관세를 두고 서로 다른 말을 하고 있습니다.
복잡함이 도를 넘어가고 있습니다. 투자자의 피로도는 극에 달합니다. 과연 25년 주식투자로 수익을 낼 수 있을지 걱정이 커지기만 합니다.
하지만…..
복잡함이 극에 달하니 이제는 단순해지고 한 가지 결론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다음 스텝이 어렴풋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글로벌 관세 ‘랠리’입니다.
혼돈 속에서 보이는 한 줄기 실마리: 관세 랠리
아니! 지금 시장이 망가져가고 있고 관세가 야기할 글로벌 경제 충격이 얼마나 될지 모르는데 관세 랠리라니 무슨 뚱딴지같은 소리인가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이 복잡함을 단순함으로 정리하려면 일단 관세 유예가 어떤 배경에서 나온 것 인지부터 판단해야 합니다. 노빠꾸 매드맨 전략의 트럼프가 이렇다 할 협상을 얻어내지 못한 상황에서 관세 유예를 발표한 것은 바로 '금리 급등' 때문입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