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오늘 공식 출마 선언, 이재명은 오늘 당대표 사퇴 예정...다가오는 조기 대선 관련주 체크는 필수!! / 美·中 관세전쟁 현실화...한국 '조선·LNG 협상카드' 들고 방미🤔
|
|
|
📈 국내 증시: '관세 불안과 실적 기대감 사이' 소폭 반등
-
코스피: 2,334.23 (+0.26%) 2,330선 회복
-
코스닥: 658.45 (+1.10%) 바이오·제약주 강세
주요 이슈
-
개인 vs 외국인: 개인 6,015억원 순매수, 외국인 6,425억원 순매도
-
방산·조선주 강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8.72%, HD현대중공업 +6.90%
-
IT서비스 약세: NAVER -6.36%, 카카오 -3.94%
-
전일 환율: 달러/원 1,473.2원 (+5.4원),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 정치권 움직임: 테마주 롤러코스터
-
이재명 테마주: 상지건설 +29.93%, 위세아이텍·크라우드웍스 상한가
-
김문수 테마주: 세원물산 +29.97%, 대영포장 +29.98%, 옵티시스 +29.91%
-
안철수 테마주: 안랩 -14.64% (전일 +19% 급등 후 급락)
🌎 미국 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다시 하락
주요 이슈
-
롤러코스터 장세: 나스닥 장중 한때 +4.6% 상승했다가 결국 하락 마감
-
빅테크 하락: 애플 -4.79%, 테슬라 -5.02%, 엔비디아 -1.37%
-
미중 갈등: 중국 "끝까지 맞설 것", 미국 104% 관세 9일 0시 1분 발효 확인
⚠️ 주목 포인트
-
미중 무역갈등 본격화 / 한미 통상협상 시작
-
미국 강경 입장: "보복은 실수...미국은 맞으면 더 세게 맞받아친다"
-
협상 가능성 시사: "중국이 협상 위해 연락하면 트럼프 관대하게 할 것"
-
중국 대응: "미국이 고집대로 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맞설 것"
-
관세 발효: 미국의 대중국 104% 관세 9일 0시 1분부터 공식 발효
-
한미 통상협상 시작
-
고위급 협의: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방미, 미국과 본격 통상 협의 개시
-
협상 핵심: 조선 협력, 알래스카 LNG 개발, 한미 무역수지 문제
-
한국 목표: "상호관세 완전 철폐, 어렵다면 단계적 인하"
-
장점 강조: "미측이 관심 있는 조선 분야에서 한국의 세계적 경쟁력 활용"
|
|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8일 제21대 대통령선거일이 6월 3일로 결정됨에 따라 주요 선거사무 일정을 확정해 발표
-
후보자 등록은 5월 10∼11일, 후보자로 등록하고자 하는 공무원은 5월 4일까지 사직, 선거운동은 5월 12일부터 선거일 전날인 6월 2일까지 22일간
-
김문수·이철우·유정복 오늘 대선 출마 선언, 홍준표 14일 출마 선언…안철수는 8일 출사표
-
한동훈·오세훈, 캠프 임대 계약…출마 '임박', 유승민·김기현·나경원·윤상현·원희룡 '고심'
📈 관련주
이재명 : 상지건설 / 위세아이텍 / 크라우드웍스
홍준표 : 경남스틸 / 윌비스 / 휴맥스홀딩스
김문수 : 평화홀딩스 / 평화산업 / 대영포장
오늘 상승할 더 많은 테마와 관련주를 확인하고 싶다면?
|
|
|
#B. 한-미 협상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항대행 겸 국무총리와 통화
-
한국과의 방위비 분담금(주한미군 주단비용 중 한국의 부담액) 협상을 다시 꺼내 들었고 한국을 포함한 각국과 무역 및 관세뿐만 아니라 산업, 안보 등 안보 사항을 하나로 묶은 ‘패키지 딜’을 추진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냄
-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과의 상호관세 협상에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과 조선 협력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힘
📈 관련주
강관 / 가스관 : 하이스틸 / 화성밸브 / 대동스틸
LNG : SK오션플랜트 / 비에이치아이 / GS
조선 : 케일럼 / 엔케이 / HD현대미포
기자재 : 한국선재 / 화인베스틸 / 조선선재
오늘 상승할 더 많은 테마와 관련주를 확인하고 싶다면?
|
|
|
전일(4/8) 장마감 이슈
조기대선 확정 - 정책
테마별 상승했던 관련주를 무료로 확인하고 싶다면?
|
|
|
지금 비트코인의 자리는 어떻게 봐야할까? (by. 체인포팀)
4월 8일 크립토 시황 점검 (by. 체인포팀)
전 세계 금융시장이 전례 없는 충격을 받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경한 관세 발언 이후, 미국 증시는 물론 국내 증시, 크립토 시장, 심지어 안전자산인 금까지 동반 하락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펼쳐졌습니다.
-
국내 증시는 사이드카 발동, 일본과 홍콩 증시도 급락
-
S&P500 지수는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며 약세장 진입
-
시장을 이끌던 M7(마그니피센트 7) 종목군도 큰 낙폭
이처럼 광범위한 매도세의 배경에는 기관의 마진콜 리스크가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지난주 역사상 최대치의 매도량이 포착됐으며, 일부 헤지펀드에서는 실제로 마진콜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대규모 롱 포지션 청산이 발생할 정도의 급격한 하락이었습니다.
며칠간 비트 현물 ETF 데이터를 봐야 정확하겠지만, 기관 투자자들은 비트 현물 ETF까지 매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들에게 마진콜은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에, 자산을 가리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