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韓 제품에 25% 관세 부과" 국가별 상호관세 시작됐다!😱 / 탄핵심판 D-1 헌재는 최종 결론 도출 완료
|
|
|
📉 국내 증시: 상호관세 발표 앞두고 외국인 매도에 하락세
-
코스피: 2,505.86 (-0.62%) 미국발 불확실성 영향
-
코스닥: 684.85 (-0.95%) 2차전지·바이오 약세
-
원/달러 환율: 1,466.6원(-5.3원) 하락세
주요 이슈
-
외국인: 7,245억원 순매도(코스피), 2,671억원 순매도(코스닥)
-
개인·기관: 각각 4,782억원, 1,480억원 순매수(코스피)
-
2차전지 약세: 에코프로비엠 -4.6%, 에코프로 -2.68%
-
반도체 혼조: SK하이닉스 +0.46%, 삼성전자우 +0.1%
-
자동차 약세: 기아 -1.18%, 현대차 -1.16%
-
업종별 분석: 2차전지·바이오 업종 특히 취약, 관세 리스크에 민감
🌎 미국 증시: 상호관세 발표 직전 강세 마감
주요 이슈
-
관세 발표 : 트럼프 대통령 증시 마감 후 상호관세 발표
-
테슬라 반등: 1분기 인도량 부진에도 머스크 관련 보도에 +5.31% 마감
-
아마존 상승: 틱톡 미국 사업권 인수 제안서 제출 보도에 +2.0% 마감
-
시간외 급락: 발표 후 ETF 및 선물 하락세(S&P ETF -2%, 나스닥 ETF -3.3%)
-
수입업체 타격: 나이키 -6%, GM -3%, 엔비디아·테슬라 각 -3%(시간외)
⚠️ 오늘 / 이번 주 주목 포인트
-
상호관세 발표: 모든 무역 상대국에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이 가장 큰 무역 적자를 기록하는 국가들에는 세율이 더 높고 개별화한 상호관세 부과
-
탄핵 심판 결과: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 주목,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여부 관건
-
기업 실적 시즌: 8일 삼성전자 실적 발표 시작으로 1분기 실적 영향력 재부각 전망
-
관세 영향권: 대한상의 조사에 따른 배터리 업종 관세 리스크 가장 높음
-
시장 전망: 관세 발표 및 탄핵 심판 결과에 따른 변동성 지속 예상
|
|
|
- 미국으로 수출되는 한국 제품에 이달 중순부터 25% 관세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공개한 개별 상호관세 부과 대상 국가에 한국이 포함됨
- 다만 품목별 관세가 부과되는 철강과 자동차, 반도체 등 한국의 대미 주력 수출 품목은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
📈 관련주
자동차 : 에스엘 / 에코플라스틱 / 성우하이텍
자동차 부품 : 현대모비스 / 화승알앤에이 / HL만도
철강 : 넥스틸 / 포스코스틸리온 / 대동스틸
알루미늄 : 피제이메탈 / 남선알미늄 / 조일알미늄
오늘 상승할 더 많은 테마와 관련주를 확인하고 싶다면?
|
|
|
#B.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헌법재판소는 막바지 준비에 박차 가하는 중
-
헌재는 이미 지난 1일 선고일을 고지하기에 앞서 평결을 통해 국회의 탄핵소추를 인용·기각·각하할지 여부에 관해 대략적인 결론, 즉 주문을 도출한 것으로 알려졌음
📈 관련주
이재명 : 오리엔트정공 / 코이즈 / 수산아이앤티
김문수 : 평화홀딩스 / 대영포장 / 밸로프
방송 채널 : iMBC / YTN / SBS
일자리 : 원티드랩 / 오픈놀 / 윌비스
저출산 : 아가방컴퍼니 / 꿈비 / 제로투세븐
오늘 상승할 더 많은 테마와 관련주를 확인하고 싶다면?
|
|
|
전일(4/2) 장마감 이슈
이재명
테마별 상승했던 관련주를 무료로 확인하고 싶다면?
|
|
|
암호화폐 우주에서 탄생한 별, 'EGLD' 코인을 알아 볼 시간
by. 체인포팀
오늘 소개할 코인은 이름만 들어서는 정체를 짐작하기 어려운 EGLD입니다. 이름만 보면 어떤 프로젝트인지 감이 잘 안 오시죠?
EGLD의 정식 명칭은 MultiversX입니다. 현재 EGLD는 업비트와 빗썸의 원화 마켓에 상장되어 있어 트레이딩을 자주 하시는 분들에게는 익숙한 이름일 수 있습니다.
MultiversX의 이야기는 2017년, 루마니아 출신의 기업가이자 컴퓨터 과학자인 베니아민 민쿠(Beniamin Mincu)와 그의 팀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시작 계기는 다소 익숙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기존 블록체인의 한계를 극복하겠다.”
많이 들어본 이야기죠. 시간이 흐른 지금은 흔한 스토리처럼 보이지만, 당시에는 블록체인 업계 전반의 핵심 과제였습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으로 대표되던 기존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확장성 문제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특히 이더리움은 초당 약 15건의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높은 가스비 때문에, 실제로 대규모 서비스를 운영하기엔 한계가 있었죠.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쿠와 그의 팀은 Elrond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그들의 비전은 분명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2020년 7월, “진짜 인터넷 규모의 블록체인” 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메인넷 출시에 성공하게 됩니다.
여기까지가 MultiversX(EGLD)의 탄생 배경에 대한 간략한 이야기였습니다. 이제, 차트를 함께 보며 최근 흐름을 살펴보도록 하죠.
EGLD는 일봉에서 하락 추세선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적인 반등 신호 또한 보여지는 만큼, 하락 추세선을 기준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볼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