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되는 미중 패권 전쟁! 美 25년만에 中에 '최혜국 지위' 박탈 통보😱 달라질 글로벌 무역환경과 영향받을 종목은?
|
|
|
* 오늘 뉴스레터는 스티비 플랫폼 자체 오류로 발송이 늦어진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국내 증시: 트럼프 관세 충격과 공매도 재개로 코스피 3%대 급락
-
코스피: 2,481.12 (-3.00%) 두 달 만에 2500선 붕괴
-
코스닥: 672.85 (-3.01%) 대형주 중심 약세
-
원/달러 환율: 1,472.9원(+6.4원) 금융위기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
주요 이슈
-
외국인: 1조5755억원 순매도, 시장 하락 주도
-
개인·기관: 순매수 불구 하락 방어 역부족
-
이차전지 급락: LG에너지솔루션 -6.04%, SK이노베이션 -7.11%, 삼성SDI -5.47%, 에코프로 -12.59%
-
반도체 약세: 삼성전자 -3.99%, SK하이닉스 -4.32%
-
아시아 증시 동반 약세: 일본 닛케이 -4.05%, 대만 자취안 -4.20%
🌎 미국 증시: 관세 발표 앞두고 혼조세 마감
주요 이슈
-
관세 임박: 백악관,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확인
-
매그니피센트7 혼조: 애플(+1.94%), 알파벳(+0.2%) 상승, 엔비디아(-1.18%) 등 5개 종목 하락
-
업종별 실적: S&P500 구성 11개 업종 중 10개 상승, 임의소비재만 하락
-
자동차주 반응: GM(+0.75%), 포드(+3.19%) 상승, 스텔란티스(-1.15%) 하락
-
금값 사상 최고치: 온스당 3,100달러 돌파
⚠️ 오늘 / 이번 주 주목 포인트
-
미국 상호관세 발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의 '모든 국가' 대상 관세 부과 임박
-
자동차 관세 발효: 4월 3일부터 수입차 25% 관세 시행 예정
-
공매도 영향: 전면 재개 영향 최대 한 달간 지속 전망, 변동성 확대 우려
-
정치적 불확실성: 탄핵 정국 장기화 가능성으로 원화 약세 심화
-
시장 전망: 골드만삭스, 미국 경기침체 확률 35%로 상향, 원/달러 환율 1500원 돌파 가능성
|
|
|
📈 관련주
해운 : STX그린로지스 / 흥아해운 / 대한해운
희토류/페라이트 : 삼화전자 / 유니온머티리얼 / 티플랙스
식량 : 미래생명자원 / 고려산업 / 한탑
비료 : 태경비케이 / 누보 / 조비
오늘 상승할 더 많은 테마와 관련주를 확인하고 싶다면?
|
|
|
#B. 정치
-
헌법재판소가 3월의 마지막 날에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론을 내리지 못함
-
헌법재판소는 2월 25일 윤 대통령 탄핵 심판 변론을 종결하고도 34일째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역대 대통령 탄핵 심판 중 최장기간
📈 관련주
최근 강세 (이재명) : KD / 형지글로벌 / 형지I&C
이재명 : 오리엔트정공 / 이스타코 / 수산아이앤티
김문수 : 평화홀딩스 / 밸로프 / 세원물산
오늘 상승할 더 많은 테마와 관련주를 확인하고 싶다면?
|
|
|
전일(3/31) 장마감 이슈
이재명
테마별 상승했던 관련주를 무료로 확인하고 싶다면?
|
|
|
한 장으로 보는 트럼프의 관세 전략 by. 팀셰르파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갑작스럽게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25% 부과 발표가 있었습니다.
2월 말 캐나다, 멕시코, EU와의 관세 설전으로 시장이 크게 흔들린 이후 트럼프의 강경한 관세 정책과 이에 따른 상대국의 보복 관세가 글로벌 정세과 증시를 너무나 복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하나씩 따로 놓고 보면 더욱더 혼란을 가중시키기 때문에 현재까지 진행된 상황을 토대로 트럼프의 관세 전략 트리를 한장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전략트리를 살펴보기에 앞서 먼저 트럼프 관세 정책의 목적을 알아야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하는 이유는 단순히 관세 수익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기업들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리쇼어링)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입니다. 즉,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옮기는 것이 유리하도록 높은 관세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는 단순한 수단이 아니라 목적 그 자체입니다.
그는 평균 관세율이 40%였던 보호무역주의 시대의 강력한 미국으로 돌아가려 하며, 관세가 이를 위한 핵심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현실적으로 완전한 회귀는 불가능하고 미국도 손해를 보겠지만, 제조업 역량을 키우지 않으면 중국과의 경쟁에서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판단합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