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공매도! 개미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하는 투자 전략과 리스크 관리법은? by. 머니서퍼
오는 3월 31일부터 국내 증시에 대한 공매도가 전면 재개됩니다. 전 종목에 대한 공매도 재개는 2020년 3월 이후 5년여 만에,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종목에 대해선 2023년 11월 이후 17개월 만입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투자자가 주식을 빌려서 판 후, 이후 주가가 내려가면 낮은 가격에 다시 사들여 차익을 얻는 투자 기법입니다. 가격 발견 기능을 제공하고 유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변동성을 키우거나 특정 종목에 대한 과도한 하락을 유발할 위험도 있습니다.
공매도 허용이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복귀를 유도하고,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공매도 재개 직후 단기적인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주가가 급등했던 종목이나 기업의 기초체력이 약한 종목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공매도 재개 시 개인 투자자들이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이 있을까요?
1. 대차잔고 급증 종목을 중심으로 대응
대차잔고(공매도 세력의 잔여 물량)가 급격히 증가하는 종목은 단기적인 하락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차잔고 증가율이 높은 종목을 피하거나 공매도 타겟이 아닌 종목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로 2023년 공매도가 집중된 카카오페이의 대차잔고 비율이 5%를 넘어서며 주가가 3개월간 18% 하락한 사례가 있습니다.